영어 문장에서 단어, 구, 절은 어떤 것일까? 우리는 긴 영어 문장을 이해하려면 이들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고서는 영어 문장이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문 : I studied English in the classroom when I was young.
10개의 단어와 1개의 구, 그리고 2개의 절로 이루어져 있다.
단어는 구 와 절에 포함될 수 있고, 구는 절 안에 포함될 수 있다. ( 단어 < 구 < 절 )
만약 두 번째 절 'when I was young' 이 없는 예문이라면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예문 : I studied English in the classroom.
6개의 단어와 1개의 구, 그리고 1개의 절로 이루어져 있고 이 예문은 문장과 절이 똑같다. 여러 단어들이 모여 구가 되고 절이 된다. 그리고 구, 절이 모여 하나의 문장이 이루어진다. (위 예문처럼 문장과 절이 같은 경우도 있다) 위 예문에 나온 구 'in the classroom'은 수식어구로서, 있으면 의미를 구체적으로 만들어 주어서 문장에 도움이 되지만 없어도 문장은 성립한다. 문장이 성립한다는 말은 수식어구가 문장에서 빠진다고 해서 '틀린' 문장이 아니라는 것이다.
① I studied English in the classroom → 영어공부를 어디서 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② I studied English. → 단순히 영어 공부를 했는지에 대해서만 알 수 있다.
두 개의 예문이 주어지고 맞고 틀린지를 고르라하면 둘 다 맞는 문장이다. 하지만 영어를 이용해 의사소통을 할 때는 '수식어구'를 잘 활용하면 그 의미를 구체화 해주므로 소통에 도움이 된다. 그래서 굳이 따지자면 ① 문장이 의사소통에는 더 '좋은' 문장이다.
문장의 구성성분은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수식어 5가지로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 꼭 문장에 모든 요소가 포함될 필요는 없다.) 그러면 각 요소별 자리에 무작위로 단어나 구, 절이 들어가도 될까? 그렇지 않다. 영어에서는 성분별로 위치할 수 있는 품사가 지정되어 있다. 영어를 익히는데 아주 중요하므로 반드시 이해하도록 하자.
주어자리에는 명사역할을 하는 '명사, 대명사, 동명사, to부정사, 명사절' 이 올수 있고 동사 자리에는 동사 역할을 하는 '조동사+동사, 동사'가, 목적어 자리에는 주어와 마찬가지로 명사역할을 하는 '명사, 대명사, 동명사, to부정사, 명사절' 이 올 수 있다. 보어는 명사 및 형용사 역할을 하는 '명사, 대명사, 동명사, to부정사, 명사절, 형용사' 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도 형용사 역할을 하므로 보어 자리에 올 수 있다. (현재분사, 과거분사)
영어는 무수히 많은 단어가 있는데 8가지 기능으로 구분한 것을 8품사라 한다. 8품사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로 구성되어 있다.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하는 구를 각각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로 부른다.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하는 절은 각각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이라 부른다.
8품사 : 명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영어공부 > [영문법] 기초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문법 기초편] Chapter 2. 문장의 형식 (1) 영어문장의 1~5형식 (이해하기) (0) | 2019.06.13 |
---|---|
[영문법 기초편] Chapter 2. 문장의 형식 (1) 영어문장의 1~5형식 (개념정리) (0) | 2019.06.13 |
[영문법 기초편] Chapter 1. 문장의 구성요소 (1) 주요 문장 성분과 수식어 (문제풀이) (0) | 2019.06.10 |
[영문법 기초편] Chapter 1. 문장의 구성요소 (1) 주요 문장 성분과 수식어 (이해하기) (0) | 2019.06.09 |
[영문법 기초편] Chapter 1. 문장의 구성요소 (1) 주요 문장 성분과 수식어 (개념정리) (0) | 2019.06.08 |